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5G 성장 동력 확보 위해 이통社 문 두드리는 삼성.LG전자, 1100조 시장 선점 노린다.

삼성‧LG전자, 각각 도이치T‧SKT와 5G 협력방안 논의
정부 “5G, 2026년까지 1161조원 규모 新시장 창출 가능”

오만학 기자

기사입력 : 2019-06-26 16:29

국내 가전업계 영원한 맞수인 삼성.LG전자가 5G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잇따라 국내‧외 이동통신사와의 협력에 나서고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 25일 서울 금천구 가산R&D캠퍼스에서 LG전자 노진서 로봇사업센터장(왼쪽), SK텔레콤 박진효 ICT기술센터장이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뒤 악수하고 있는 모습. 사진=LG전자 이미지 확대보기
국내 가전업계 영원한 맞수인 삼성.LG전자가 5G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잇따라 국내‧외 이동통신사와의 협력에 나서고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 25일 서울 금천구 가산R&D캠퍼스에서 LG전자 노진서 로봇사업센터장(왼쪽), SK텔레콤 박진효 ICT기술센터장이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뒤 악수하고 있는 모습. 사진=LG전자
국내 가전업계 영원한 맞수인 삼성전자와 LG전자가 5G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잇따라 국내‧외 이동통신사와 협력에 나서고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5G네트워크는 모든 ICT 사물을 연결해 융합서비스와 이를 가능하게 하는 장비‧단말 등 제조분야 신산업 창출을 실현시킬 수 있는 4차 산업혁명 핵심 인프라 기술로 평가 받고 있으며 오는 2026년까지 총 1161조원 규모의 신(新)시장을 창출할 것이란 전망이 나와 있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25일 서울 한 호텔에서 도이치텔레콤 주요경영진과 만남을 갖고 스마트폰 통신장비 공급과 인공지능(AI)를 비롯한 정보통신기술(ICT)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업계는 이 자리에서 삼성전자의 5G 장비‧단말기 공급 등에 대한 의견이 오갔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도이치텔레콤은 독일‧영국‧체코 등 50개 국가에서 무선 가입자 1억8000만 명, 유선 가입자 3000만 명을 보유하고 있는 유럽 최대 통신사다.

앞서 이 부회장은 지난달에는 일본 도쿄에서 현지 1,2,위 통신사 경영진과 잇따라 만나 5G 네트워크 구축과 단말기 공급 등 다양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LG전자도 이날 서울 금천구 LG전자 가산R&D캠퍼스에서 국내 1위 통신사인 SK텔레콤과 '5G 통신망을 이용한 로봇사업 공동연구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두 회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SK텔레콤의 5G 모바일 에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해 자율주행이 가능한 LG전자 로봇을 ▲실내지도 구축 ▲보안 ▲안내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공동으로 모색하기로 했다.

LG전자와 SK텔레콤은 이번 협업을 시작으로 SK텔레콤의 5G, AI, 클라우드 등 ICT 기술력과 LG전자의 로봇 제조 역량을 결합해 5G 시대에 필요한 로봇 서비스를 점차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기존 제조업체들이 이동통신사와의 협력 보폭을 넓히는 이유는 성장이 유망한 5G 네트워크를 활용한 신산업 발굴을 선점하려는 것이 꼽힌다.

5G 네트워크는 초연결‧초고속‧초지연을 특징으로 모든 ICT 사물을 연결해 경제‧사회 전반의 혁신적 융합서비스와 이를 가능하게 하는 장비‧단말 등 제조분야 신산업 창출을 실현시킬 수 있는 4차 산업혁명 핵심 인프라 기술로 평가 받는다.
과학기술정통부를 비롯한 정부 10개 부처가 지난 4월 공동으로 발간한 ‘혁신성장 실현을 위한 5G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5G는 네트워크 장비와 단말기, 첨단 디바이스보안, 융합서비스 등 주요 연관 산업 분야에서 오는 2026년까지 총 1161조원 규모의 신(新)시장을 창출할 전망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일본 등 주요국은 5G 시장선점을 위해 5G 네트워크를 조기 상용화함과 동시에 수익모델 발굴‧확산을 통한 연관 산업 활성화에도 노력을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고서는 “5G 기술은 반도체 등 기존 주력산업의 성장 둔화, 글로벌 경쟁심화 등에 따른 국내 ICT 산업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최선의 대안”이라고 밝혔다.


오만학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h38@g-enews.com
아우디에서 가장 빠른 전기차 RS e-트론 GT
아우디 e-tron GT vs. 아이오닉 5 N 비교할 수 있을까?
이번엔 더 무서운 차 끌고 나왔다! 벤츠 E 300 4MATIC AMG Line
국내 1, 2위 다투는 수입차, 벤츠 E와 BMW 5 전격 비교
숨은 진주 같은 차, 링컨 노틸러스 ... "여긴 자동차 극장인가?"
가장 현실적인 드림카, 벤츠 디 올-뉴 CLE 450 4MATIC
파격 변신한 8세대 BMW 5시리즈...520i M sport package, "엔트리 같지 않다"
모든 걸 다 가진 차 왜건..."볼보 V90 CC, 너 하나로 만족한다"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