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몽까이경제구역, 동당-랑선·라오까이 국경경제구역의 교역활동 가장 두드러져 -
2020년 12월 베트남 총리는 2021~2025 사회경제개발계획에 포함된 우선 투자대상 8개의 경제구역을 승인했다. 이번 해외시장뉴스에서는 경제구역의 정의와 지난 2016~2020 사회경제개발계획 기간의 우선 투자대상 경제구역 및 26개 경제구역을 돌아보고 이번 2021~2025 사회경제개발계획에 우선 투자대상으로 승인된 8개 경제구역에 대해 알아본다.
1. 경제구역
경제구역(Economic Zones)의 정의
‘산업 및 경제구역관리에 대한 시행령’(Decree No.82/2018/ND-CP) 제1장 제2조 제7항에 따른 경제구역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경제구역은 지정학적 경계에 위치하면서 투자 유치, 사회경제적 발전, 국방 안보를 목적으로 설립되고 다양한 기능 구역으로 구성된 구역이다. 경제구역에는 해안경제구역과 국경경제구역이 있으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경제구역이라고 부르며, 이 시행령은 해안경제구역과 국경경제구역을 모두 포함한다.(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경제구역으로 통칭한다.) a) 해안경제구역(A Coastal Economic Zone)은 해안지역과 인접지역, 항만 등을 포함해 형성되는 경제구역으로 이 시행령의 시행 규정 및 절차에 따라 설립된다. b) 국경경제구역(The Border Gate Economic Zone)은 국경관문을 가진 내륙 경계구역 및 인접 지역에 형성되는 경제구역으로 이 시행령의 규정, 조건 및 절차에 따라 설립된다. |
경제구역은 해안경제구역과 국경경제구역을 포함해 일컫는 용어이다. 지정학적 위치와 보유 자원 여부에 따라 산업·상업· 위락·농림수산업·군사보호 등의 기능구역을 포함하기도 한다. 따라서 경제구역은 큰 틀에서 베트남 정부가 해안 및 국경을 중심으로 해당 지역을 투자대상으로 선정하고 국내·외 기업의 투자를 촉진 및 유치하기 위한 구역이다. 2020년 기준 베트남에는 총 26개의 경제구역이 있으며, 정부는 이 중에서 교역규모가 큰 경제구역 일부를 우선 투자대상 경제구역으로 승인하고 예산을 집중 할당하고 있다.
2. 2016~2020기간 경제구역의 주요 성과는?
2019년 총 26개 경제구역 교역규모, 2015년 대비 2.1배 증가한 289억 달러
베트남 기획투자부에 따르면 2008년부터 2020년 말까지 순차적으로 지정된 26개의 경제구역은 지난 12년간 국내기업 및 외국인투자기업을 통틀어 575개의 사업을 유치했다. 2019년 한 해 26개 경제구역의 교역 규모는 2015년 대비 연평균 23.7% 증가한 289억 달러였다.
특히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 경제구역을 통한 2019년 교역 규모는 248억 달러로 2019년 전체 경제구역 교역 규모의 85.8%, 양국 간 총 교역 규모의 21.3%를 차지한다. 2019년 캄보디아와의 경제구역을 통한 교역 규모는 30억 달러로 2015년부터 4년간 연평균 18.9% 증가했다. 그러나 라오스와의 경제구역을 통한 교역 규모는 11억 달러로 2015년 15억 달러 대비 4년간 연평균 7.5% 감소했다.
경제구역 국가별 교역규모 및 연평균 수출입 증감률(2015~2019)
(단위: US$ 억)
자료: 베트남 기획투자부(2019) 및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2019년 우선 투자대상 경제구역 9개, 전체 26개 경제구역 수출입규모의 88.9% 차지
베트남 총리는 지난 2015년 12월, 2016~2020 사회경제개발계획 기간 총 9개의 경제구역을 우선 투자대상으로 승인했으며, 경제구역 총 투자 지원자본의 70%를 우선 투자대상 경제구역에 집중적으로 할당할 것을 요청한 바 있다. 9개의 경제구역은 몽까이 경제구역, 짜로 국경경제구역, 동당-랑선 국경경제구역, 라오까이 국경경제구역, 까오방 국경경제구역, 꺼우쩌 국경경제구역, 라오바오 경제상업특구, 목바이 국경경제구역, 그리고 안장 국경경제구역이다. 이 중 해안경제구역과 국경경제구역을 모두 포함하는 몽까이 경제구역과 상업 특구로 지정된 라오바오 경제상업특구를 제외한 나머지 7개는 모두 국경경제구역이다. 2019년 한 해 동안 9개 우선 투자대상 경제구역의 교역 규모는 26개 전체 경제구역 교역 규모의 88.9%에 해당하는 257억 달러로, 이를 통해 베트남의 경제구역을 통한 수·출입 활동은 9개의 우선 투자대상 경제구역에 집중돼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2021~2025 사회경제개발계획 기간 우선 투자대상 경제구역
베트남 총리는 2020년 12월 18일 발행한 승인서(1804/TTg-CN)를 통해 기획투자부가 정부에 제안한 2021~2025 사회경제개발계획기간 동안 8개의 우선 투자대상 경제구역을 승인한 바 있다. 지난 2016~2020 사회경제개발계획 기간과 비교해 2021~2025 사회경제개발계획 기간의 변동사항은 기존 꽝닌(Quang Ninh)성의 짜로 국경경제구역(Cha Lo Economic Zone)을 제외하고 8개의 우선 투자대상 경제구역을 지정한 것이다. 정부의 우선 투자대상 경제구역에 대한 예산이 2016년 대비 2018년 67% 이상 감소함에 따라 교역 규모가 높은 순서대로 우선 투자대상 경제구역에 사용할 예산을 집중적으로 분배하기 위함으로 추정된다.
우선 투자대상 경제구역 정부 예산(2016-2019)
(단위: US$ 백만)
자료: 베트남 기획투자부(2019)
경제구역은 접경국가와 기능구역에 따라 각기 다른 특징이 있으며, 8개의 경제구역 중에서 교역 활동이 가장 두드러지는 경제구역은 몽까이 경제구역, 동당-랑선·라오까이 국경경제구역이다.
몽까이 경제구역은 1996년 베트남 정부가 경제구역을 최초 시범운영하고 2012년 경제구역으로 지정된 곳이다. 총 12만1197헥타르 규모의 몽까이 경제구역은 꽝닌성과 베트남 북동부를 중국 둥싱시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몽까이 경제구역은 하이하 심해항과 내륙항을 모두 포함, 수·출입에 용이하며 총 26개 경제구역 중에서 가장 성공한 경제구역으로 꼽힌다.
3만9400헥타르 규모의 동당-랑선 국경경제구역은 중국 난닝시와 베트남–랑선–하노이–하이퐁을 잇는 가교이다. 2020년 말 기준 지난 12년간 동당-랑선 국경경제구역이 유치한 투자사업은 총 130개로 랑선 성 전체 투자사업의 31%를 차지하며, 이 중 외국인직접투자사업은 랑선 성 전체 투자사업의 66%에 해당한다.
1만5292헥타르 규모의 라오까이 국경경제구역은 중국 윈난성의 접경지역으로 양국 간의 활발한 교역 활동이 있는 곳이다. 2020년 한 해 약 570개 기업이 라오까이 국경경제구역 내의 무역항을 통해 교역을 했다.
2021~2025 사회경제개발계획 기간 8개 우선투자 경제구역
자료: 각 성·시 인민위원회 홈페이지 및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경제구역과 인접한 산업단지 연계
경제구역의 기능구역에 산업단지가 반드시 포함된 것은 아니다. 일부 경제구역은 산업단지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으나 경제구역에 산업단지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각 경제구역은 성·시 별로 기능구역과 혜택이 상이하므로 경제구역과 근린 산업단지를 연계·활용하기를 원하는 기업은 각 성·시의 사회경제개발계획을 참고하고 성·시별 산업단지에 대한 혜택 및 베트남의 투자 인센티브 종류와 획득 방법에 대해 면밀히 살펴본 후 최적의 입지를 선택을 위해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다.
주: 해외시장뉴스: 베트남의 투자 인센티브 종류와 획득 방법 안내(클릭하시면 연결)
시사점
경제구역은 접경 국가와 수출입을 용이하게 한다. 투자를 염두에 두는 기업이 경제구역 인근 산업 공단에 생산기지를 마련한다면 산업공단 관련 혜택 및 운송비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경제구역별로 해안 및 내륙 관문에서 산업단지까지의 거리와 성·시 별로 산업단지에 제공하는 혜택에 대해 검토한다면 더 유리한 입지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지난 2021년 1월 1일 발행된 2021~2025 사회경제개발계획 결정서(01/NQ-CP)의 별첨 4부, 35항에 2021년 3분기 중에 2018년 5월 22일 발행됐던 ‘산업 및 경제구역관리에 대한 시행령(82/2018/ND-CP)'을 개정한다고 밝혔다.
베트남 기획투자부 관계자는 KOTRA 하노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경제구역사업은 투자기업을 유치해 베트남의 성장과 발전에 긍정적으로 기여해왔으나 ‘산업·경제구역 개발계획’은 해당 성·시의 개발 목표와 일치하지 않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올 3분기 발표할 ‘산업 및 경제구역관리에 대한 개정 시행령’에서는 어떤 조항이 추가·삭제 및 변경되며 구체화할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료: 베트남 기획투자부, 01/NQ-CP, 82/2018/ND-CP, 베트남 산업부 외국인 투자청(MPI), 각 시·성 별 인민위원회 공식 웹사이트, Vietnam Government News(VGP), Vietnam Briefing 및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