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현지 시간) 일본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복수의 제네릭 의약품 제조업체가 법령 위반으로 의약품 출하가 정지되면서 의약품 품귀현상을 빚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타 의약품 제조업체가 공급을 꺼리는 '출하 조정'도 동시에 일어나 약국 등에서 필요한 의약품을 구입하기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후생노동성은 지난 10일 제약업계에 통지문을 보내 대책마련에 나섰지만, 의약품 품귀 현상은 장기화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현재 일본에서 공적 의료보험의 대상이 되는 의약품은 약 1만4000개로, 전체 의약품의 20%가 넘는다.
이 같은 의약품 품귀 현상이 초래된 원인은 제네릭 의약품 제조업체 고바야시 화공(小林化工)이 제조 판매한 경구용 항진균제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일부 로트에서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 계열 수면제 성분이 혼입된 문제 탓이다. 건강 피해가 잇따르자 지난 2월 116일간의 업무정지 처분을 받았다. 그 후, 제네릭 의약품 대기업인 니치이코(日医工)가 지난 3월 조세이도 제약이 10월에 업무 정지 처분을 받는 등 불상사가 계속됐다.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3개사의 합계 641개 품목이 출하 정지나 공급이 지연되어 공급 부족이 발생하고 있다. 같은 성분의 제네릭 의약품을 만드는 타사에 주문이 쇄도해, 거래처나 고객에의 공급 부족을 염려해 충분한 재고가 있는데도 주문을 거절하는 '출하 조정'을 일으켜, 품귀 상태가 한층 더 확대되고 있다.
제네릭 의약품 사용 비율은, 지난해 9월 시점에서 78·3%에 달했다. 정부는 의료비를 억제하기 위해 2023년도 말에 전국에서 80% 이상으로 하는 목표를 내걸고 있는데, 거의 정부 목표에 도달하고 있다.
의약품 품귀 현상을 심각하게 받아들인 후생노동성은 지난 10월 출하 정지의 영향을 조사한 바 있다. 지난해 9월과 비교해 올해 9월의 공급량은, 출하 정지 품목이나 그 대체품과 같은 성분·규격의 약 4800개 품목 가운데 1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10일 전년 대비 20% 이상 감소한 고혈압·기관지 천식 등 일부 약품에 대해 의약품 단체인 '일본제약단체연합회'에 증산을 요청하는 통지문을 보냈다.
이와 함께 공급량이 5% 이상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품귀 현상이 일어난 의약품에 대해, '출하 조정'이 횡행하고 있다고 보고 연말까지 그만두도록 요청했다. 일본 의사회 등 의료기관 단체 등에도 꼭 필요한 의약품에 대해 최소한의 발주를 권고했다.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의약품 증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지품목의 출하 재개가 필요하지만, 전 품목 재개에는 약 2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노정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