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2020년 상반기 카타르 수출입 동향

기사입력 : 2020-09-29 00:00

    - 코로나19 및 유가하락 영향으로 무역수지 전년 대비 41% 감소 -
    - 한국과 교역은 전반적 감소세, 진단키트 및 공기조절기 수출은 큰 폭으로 증가 -





카타르 수출입 동향


1. 연도별 동향


카타르는 2020년 코로나19의 대유행과 유가 하락으로 다사다난한 한 해를 보내고 있다. 에너지 자원(천연가스,원유)이 국부의 원천인 카타르는 GDP의 32%, 수출의 84%, 재정수입의 83%가 에너지 자원 수출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에너지 자원은 카타르의 무역수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편이다.

2020년 상반기 기준 무역수지는 135억 달러로, 유가 하락으로 인한 수출 금액 감소 뿐만 아니라, 코로나19에 따른 세계적인 에너지 자원 수요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41% 감소했다. 또한 코로나19에 따른 현지 주요 중대형 건설 프로젝트 연기, 일부 경제 활동 제한 조치, 소비 위축 등 요인으로 인해 2020년 상반기 수입 규모는 132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9% 하락했다.


카타르 수출입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상)
수출
57,309
(△26%)
67,498
(18%)
84,288
(25%)
72,935
(△13%)
26,741
(△28%)
수입
31,934
(12%)
30,766
(△4%)
33,307
(8%)
31,354
(△6%)
13,246
(△9%)
무역수지
25,375
(△48%)
36,732
(45%)
50,981
(39%)
41,581
(△18%)
13,495
(△41%)
주1: 괄호 안의 수치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자료원 :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2. 품목별 동향

2020년 상반기 카타르의 1위 수입품목은 석유화학 시설에서 사용되는 가스터빈과 항공기 및 선박용 터보제트(HS 84111200)로, 해당 품목은 7억 8천만 달러 규모로 수입돼 전년 동기 대비 97% 증가했다. 2위 수입품목인 항공기 부품(HS 88033000)은 약 5억 2천만 달러로 수입됐으며, 대부분 국영 항공사인 카타르항공(Qatar Airways)에서 항공기 정비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항만이나 현지 수리조선소, 유전 등에서 사용되는 선박 관련 시추대와 작업대(HS 89052000)도 3억 3천만 달러 규모로 수입돼 전년 대비 435%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의약품류(HS 30049090)의 수입도 코로나19 확산으로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54% 증가한 1억 8천 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HS코드 8단위 기준으로 10위 안에 들진 않았으나, 주목할만한 주요 수입품목으로는 마스크 및 의료진단기기와 승용차가 있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마스크(HS 63079097)의 수입은 9천 6백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대비 336% 증가했다. PCR 검사키트와 검체 채취 및 수송배지 키트를 포함하는 의료진단기기(HS 3822000)는 6천 7백만 달러로 수입돼 전년 동기 대비 336% 증가했다. 승용차(HS 8703)의 경우, 4단위 기준으로 4억 4천만 달러 규모로 수입돼 카타르 전체 수입규모의 3%를 차지했으며, 신차 구매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16% 하락했다.


한편, 2020년 상반기 카타르의 천연가스 및 원유 수출은 205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했으나, 유가 하락 및 코로나19에 따른 에너지 자원 수요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석유화학 제품(나프타, 에틸렌, 질소비료 등)도 전반적으로 감소세를 기록했다.

2020년 상반기 카타르의 10대 수입 품목
(단위 : 백만 달러)
연번
HS코드
품목명
금액
점유율
증감률
1
84111200
가스터빈, 항공기 및 선박용 터보제트
(Turbo Jets Of A Thrust Exceeding 25 Kn)
781
6%
97%
2
88033000
항공기 부품
(Other Parts Of Aeroplanes Or Helicopters)
517
4%
△7%
3
89052000
선박 관련 시추대 및 작업대
(Floating Or Submersible Drilling Or Production Platforms)
330
2%
435%
4
85171200
전화기
(Telephone Sets , Mobile)
192
1%
13%
5
30049090
의약품
(Medicaments Containing Alkaloids, Other)
185
1%
54%
6
84071000
항공기용 엔진
(Spark Ignition Reciprocating Or Rotary Internal Combustion Piston Engines For Aircrafts)
177
1%
△32%
7
28182000
인조 커런덤, 산화 및 수산화 알루미늄
(Other Aluminum Oxide)
140
1%
△26%
8
74081100
구리선
(Copper Wire Of Which The Maximum Cross-Sectional Dimension Exceeds 6 Mm)
122
1%
58%
9
71081210

(Gold Ingots)
120
1%
△42%
10
73051100
철강관
(Line Pipe, Longitudinally Submerged Arc Welded)
120
1%
△67%
기타
10,562
80%
-
합계
13,246
100%
△9%
자료원 :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관세법령정보포털(HS코드 해설서)

2020년 상반기 카타르의10대 수출 품목
(단위 : 백만 달러)
연번
HS코드
품목명
금액
점유율
증감률
1
2711
천연가스
(Petroleum Gases And Other Gaseous Hydrocarbons)
17,246
64%
△26%
2
2709
석유와 역청유(원유)
(Petroleum Oils & Oils From Bituminous Minerals Etc. (Crude))
3,351
13%
△47%
3
2710
석유와 역청유(원유 제외)
Petroleum Oils & Oils From Bituminous Minerals Etc. (Not Crude)
1,384
5%
△46%
4
3901
에틸렌의 중합체
(Polymers Of Ethylene, In Primary Forms)
743
3%
△33%
5
3102
질소비료
(Mineral Or Chemical Fertilizers, Nitrogenous)
646
2%
△8%
6
7601
알루미늄 괴
(Unwrought Aluminum)
616
2%
△7%
7
8905
선박류 및 시추대, 작업대
(Light-Vessels, Fire-Floats, Dredgers Etc.; Floating Docks & Platforms)
358
1%
929%
8
2804
수소 및 희가스, 비금속 원소
(Hydrogen, Rare Gases And Other Non-metals)
206
1%
8%
9
8803
항공기 부품
(Parts Of Balloons Etc.; Parts Of Aircraft, Spacecraft Etc.)
202
1%
12%
10
8904
예인선과 푸셔 크라프트
(Tugs And Pusher Craft)
185
1%
3%
기타
1,804
7%
-
합계
26,741
100%
△28%
자료원 :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관세법령정보포털(HS코드 해설서)

한국과의 수출입 동향


1. 연도별 동향

한국은 2020년 상반기 기준 카타르의 16위 수입국이자, 2위 수출국이다. 2020년 상반기 기준 한국의 카타르향 수출은 약 1억 6천만 달러로 전년대비 15% 가량 감소했는데, 이는 카타르의 코로나19로 인한 프로젝트 중단 및 소비 시장 위축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 카타르와의 교역에서 높은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한국이 카타르에서 천연가스 및 원유와 같은 고부가가치의 에너지 자원을 수입하고 있고, 카타르는 한국에서 자동차, 전자제품, 산업기자재 등을 수입하기 때문이다. 한국이 수출하는 물품들은 에너지 자원 가격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가치가 낮지만, 카타르는 제조업 기반이 취약해 대부분의 물품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양국은 서로 부족한 자원을 공급하는 상호 보완적 경제 구조를 지녔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의 대 카타르 수출입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상)
수출
536
(△20.5%)
435
(△18.7%)
526
(20.8%)
357
(△32.1%)
164
(△14.7%)
수입
10,081
(△38.8%)
11,267
(11.8%)
16,294
(44.6%)
13,037
(△20.0%)
4,409
(△34.3%)
무역수지
-9,545
(△39.6%)
-10,832
(13.4%)
-15,773
(45.6%)
-12,680
(△20.0%)
-4,245
(△35%)
주: 괄호 안의 수치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자료원 :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2. 품목별 동향

2020년 상반기 MTI 3단위 기준 카타르로 가장 많이 수출한 품목은 기타정밀화학제품(MTI 229)으로, 전년 동기 대비 908% 증가한 2,130만 달러를 기록했다. MTI 229에 해당하는 진단키트(HS 382200)는 코로나19에 따른 현지 수요 증가로 상반기에만 1,870만 달러 규모로 수출돼 카타르 전체 수입규모의 약 30%를 차지했다.

자동차(MTI 741)는 한국이 매년 카타르로 수출하는 주요 상위 품목이나 1,154만 달러로 수출돼 전년 대비 60% 감소했다. BMI에 따르면 2019년 카타르 내 한국산 자동차의 점유율은 약 11%를 기록한 바 있으나, 코로나19에 따른 영향으로 신차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자동차 수출도 큰 폭으로 하락했다.

공기조절기 및 냉난방기(MTI 713)도 875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30% 가량 상승했는데,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가정 및 산업 시설에서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공기청정기 및 가습기류 수요가 증가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카타르는 한국의 8대 프로젝트 수주 시장으로 우리 기업의 프로젝트 수주 및 각종 산업 기자재 수출을 이끌어왔으나, 상반기 유행한 코로나19는 산업기자재 수출 감소에도 영향을 미쳤다. 정부는 지난해 계획했던 2020년 프로젝트 예산 247억 달러 중 1/3 규모(82억 달러) 프로젝트 추진을 연기하기로 발표했다. 이에 따른 영향으로 건설중장비, 지게차, 부품류 등을 포함하는 건설광산기계(MTI 725)의 수출은 752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45% 감소했으며, 고압케이블, 변압기 등을 포함하는 전력용기기(MTI 841)의 수출도 600만 달러로 77% 감소했다.

한편, 카타르는 한국의 1위 LNG 공급국이자 6위 원유 공급국으로, 2019년 LNG 총 수입량의 37%(1,130만톤), 전체 원유 수입량의 6%(6,429만 배럴)를 카타르에서 수입했다. 2020년 기준 천연가스(MTI) 수입은 26억 달러로 30% 감소했으며, 원유 또한 13억 달러로 26% 감소했다. 나프타 및 윤활유를 포함하는 석유제품(MTI)도 66% 감소한 2억 9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0년 상반기 한국-카타르 품목별 수출입
(단위 : 천 달러, %)
이미지 확대보기

자료원 : KITA

시사점 및 전망


2020년 상반기에는 세계적으로 유행한 코로나19와 국제 유가 급락으로 카타르 경제도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지만, 정부 주도의 경기 부양책 시행과 걸프 국가 최초의 100억 달러 국채 발행, 북부 가스전(North Field) 증산 계획의 순조로운 진행 등에 따라 점차 경기를 회복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PwC는 코로나19와 유가 하락은 카타르가 현지화 및 디지털화를 통해 지식 기반 경제로 발전할 수 있도록 더욱 가속화 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북부가스전 증산 계획에 따라 현지 기업들이 현재의 경기 침체 상황에서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해 장기적으로 가시적인 사업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이정표를 제공했다고 분석했다.

한국과의 교역에서는 중대형 신규 프로젝트 발주 감소와 일부 프로젝트 연기, 경제 침체에 따른 소비 감소로 우리 기업은 전반적으로 수출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북부가스전 프로젝트 계획 및 약 2년 앞으로 다가온 2022년 카타르 월드컵 등 요인으로 중장기적인 수출 경기 회복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 완화 및 일일 확진자 감소세로 시민들이 단계적으로 일상생활에 돌아오고 있어, 카타르향 수출 시장도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카타르는 2017년 인근 국과의 외교 단절과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식료품 및 의료용품 등에 있어 일시적인 수급 애로를 경험한 바 있다. 제조업 기반이 취약해 대부분의 물품 수요를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던 카타르는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현지화를 모색하기 위해 산업 기자재 및 의료용품 등 분야를 시작으로 제조업 기반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해나가고 있다. 제조업 관련 설비류 및 원부자재, 제조 기술 및 노하우 수출이나, 현지 제조업 진출 등에 있어서도 협력 기회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원 : 주요 일간지(Gulf Times, Peninsula, Qatar Tribune), PwC,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KITA 등 KOTRA 도하무역관 자료 종합

아우디에서 가장 빠른 전기차 RS e-트론 GT
아우디 e-tron GT vs. 아이오닉 5 N 비교할 수 있을까?
이번엔 더 무서운 차 끌고 나왔다! 벤츠 E 300 4MATIC AMG Line
국내 1, 2위 다투는 수입차, 벤츠 E와 BMW 5 전격 비교
숨은 진주 같은 차, 링컨 노틸러스 ... "여긴 자동차 극장인가?"
가장 현실적인 드림카, 벤츠 디 올-뉴 CLE 450 4MATIC
파격 변신한 8세대 BMW 5시리즈...520i M sport package, "엔트리 같지 않다"
모든 걸 다 가진 차 왜건..."볼보 V90 CC, 너 하나로 만족한다"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