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FOMC 금리인상 뉴욕증시 비트코인 "오히려 기회" 마켓워치 특별보고서

김대호 기자

기사입력 : 2022-01-21 00:00

미국 뉴욕증시 모습 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뉴욕증시 모습
미국 연준 FOMC의 테이퍼링 단축과 금리인상 양적긴축 예고로 전세계가 긴장하는 있지만 미국 뉴욕증시는 FOMC 금리인상기에 더 많이 올랐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21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월가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지닌 언론인 마켓워치는 다우존스의 시장 데이터를 인용해 그동안 5차례에 걸친 연준의 금리 인상기 즉 1994년 2월~1995년 7월, 1997년 3월~1998년 9월, 1999년 6월~2001년 1월, 2004년 6월~2007년 9월, 2008년 12월~2019년 7월) 동안의 나스가지수의 평균 수익률은 102.7%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이 기간중 S&P500지수는 62.9%, 다우지수는 54.9%의 평균 수익률을 보였다.
마켓워치는 또 6차례의 연준 금리 인하기인 1989년 5월~1994년 2월, 1995년 7월~1997년 3월, 1998년 9월~1999년 6월, 2001년 1월~2004년 6월, 2007년 9월~2008년 12월, 2019년 7월~2022년 1월 기간 동안 다우지수 23%, S&P500 21.2%, 나스닥지수 32% 올랐다고 보도했다. 금리 인하는 주로 불황일 때, 금리 인상은 경기 활황일 때 주로 이뤄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금리인상기에 뉴욕증시가 오히려 더 오른다는 것이다. 1990년대부터 2019년까지 걸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5차례 금리 인상기에 미국 뉴욕증시가 호실적을 보였다는 사실이 통계를 입증됐다.

앞서 열린 미국 뉴욕증시 지수선물거래에서도 이같은 분위기가 일부 반영돼다. 지수 선물시세가 비교적 큰 폭으로 올랐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등 암호 가상화폐도 소폭이지만 상승했다. 국채금리 급등으로 야기돤 뉴욕증시와 비트코인의 긴측발작이 일단 진정되는 모습이다. 국채금리도 소강국면이다. 지수 선물의 상승은 정규장 뉴욕증시와 상호 연관성이 높다. 기업들의 4분기 실적이 좋은 것으로 나타난 것이 뉴욕증시에 분위기를 호전시키고 있다. 이른바 어닝 실적 스프라이즈 효과이다. 실업보험 수당 신청자의 수가 줄어든 것도 랠리의 요인이 되고 있다. 미국의 긴축 강도가 거세질 거란 우려가 글로벌 금융시장을 극한의 공포로 몰아넣었으나 그 공포가 이 시각 현재 진정되는 양상이다. 앞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만 네 차례 금리인상을 단행하는 등 공격적 긴축에 나설 것이란 전망에 미국의 국채금리는 한때 2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그 국채금리 급등세가 지금은 안정된 모습이다.

아시아 증시는 혼조 마감했다. 중국 당국이 두 달 연속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중국의 경기 급랭 우려가 일었다. 일본에서는 수출이 호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나며 투자 심리를 개선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3.12포인트(0.09%) 하락한 3,555.06에 거래를 마쳤다. 선전종합지수는 22.44포인트(0.92%) 내린 2,419.69에 마감했다. 전 세계가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또 내렸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월 1년 만기 LPR이 전달의 3.8%보다 0.1%포인트 낮은 3.7%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앞서 한국시간 20일 아침 새벽 마감한 뉴욕증시에서는 나스닥 지수가 고점대비 10% 이상 하락하며 '기술적 조정(correction)' 국면에 진입했다.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9.82포인트(0.96%) 하락한 35,028.65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4.35포인트(0.97%) 떨어진 4,532.76에 마감했다. 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66.64포인트(1.15%) 급락한 14,340.26에 마감했다.
일본 도쿄증권거래소에서 닛케이225 지수는 305.70포인트(1.11%) 오른 27,772.93에 마감했다. 도쿄증시 1부 토픽스 지수는 18.81포인트(0.98%) 상승한 1,938.53에 장을 마감했다. 하루전 크게 하락한 소니그룹과 도요타자동차는 이날 각각 3%대와 1%대의 상승률을 보였다. 아시아 시장에서는 미국 주가지수 선물이 상승세를 보이자 도쿄 시장의 투자 심리도 회복세를 보이며 다시 올랐다. 달러-엔 환율은 전장 뉴욕 대비 0.18% 오른 114.482엔에 거래됐다.

미국 은행 모건스탠리와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시장의 예상치를 웃돈 실적을 발표했다. 모건스탠리의 지난해 4분기 순이익은 37억 달러, 주당 순이익(EPS)은 2.01달러로 집계됐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작년 4분기 순이익과 주당 순이익은 각각 70억 1천만 달러, 82센트로 집계됐다. 프락터 앤드 갬블(P&G)의 회계 2분기 순이익은 42억2천만 달러, 주당 1.66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순이익이었던 38억5천만 달러, 주당 1.47달러보다 개선된 실적이다. 미국 국채 금리 급등세는 주춤하고 있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은 올해 3월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97.1%로 내다봤다. 월가의 공포 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06포인트(4.65%) 상승한 23.85이다. .

중국 인민은행이 기준금리로 여겨지는 대출우대금리(LPR)를 두 달 연속 내렸다는 소식에 코스피도 상승했다. 중국의 경기 부양 의지가 확인되면서 투자 심리가 개선됐다. LG화학[051910](6.58%), 삼성SDI[006400](4.08%), SK이노베이션[096770](1.53%) 등 배터리 3사가 크게 올랐다. 카카오[035720](2.10%), 카카오뱅크[323410](2.27%), 카카오페이[377300](6.25%) 등 카카오 그룹주도 반등했다. SK하이닉스[000660](-1.57%), 셀트리온[068270](-1.20%), 신한지주[055550](-1.77%) 등도 반락했다. 펄어비스[263750](4.84%), 엘앤에프[066970](3.86%), 카카오게임즈[293490](5.00%), 위메이드[112040](7.03%), HLB[028300](4.11%) 등이 올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기조로 가상화폐 시장에 먹구름이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연준이 이르면 3월에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 때문에 연초부터 주식과 마찬가지로 가상화폐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보도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최대 가상화폐인 비트코인 가격은 올들어 무려 8.7% 떨어졌다. 2위 가상화폐 이더리움은 14% 급락했다.비트코인은 2021년 10월 6만8천990달러(약 8천200만원)로 역대 최고가를 기록한 이후 현재까지 39% 곤두박질쳤다.
세계 최대 비트코인 펀드인 자산 규모 270억달러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트러스트(GTBC)도 연초 대비 17% 떨어졌다.

미국 연준 FOMC의 테이퍼링 단축과 금리인상 양적긴축 예고로 전세계가 긴장하는 있지만 미국 뉴욕증시는 FOMC 금리인상기에 더 많이 올랐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21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월가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지닌 언론인 마켓워치는 다우존스의 시장 데이터를 인용해 그동안 5차례에 걸친 연준의 금리 인상기 즉 1994년 2월~1995년 7월, 1997년 3월~1998년 9월, 1999년 6월~2001년 1월, 2004년 6월~2007년 9월, 2008년 12월~2019년 7월) 동안의 나스가지수의 평균 수익률은 102.7%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이 기간중 S&P500지수는 62.9%, 다우지수는 54.9%의 평균 수익률을 보였다.

마켓워치는 또 6차례의 연준 금리 인하기인 1989년 5월~1994년 2월, 1995년 7월~1997년 3월, 1998년 9월~1999년 6월, 2001년 1월~2004년 6월, 2007년 9월~2008년 12월, 2019년 7월~2022년 1월 기간 동안 다우지수 23%, S&P500 21.2%, 나스닥지수 32% 올랐다고 보도했다. 금리 인하는 주로 불황일 때, 금리 인상은 경기 활황일 때 주로 이뤄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금리인상기에 뉴욕증시가 오히려 더 오른다는 것이다. 1990년대부터 2019년까지 걸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5차례 금리 인상기에 미국 뉴욕증시가 호실적을 보였다는 사실이 통계를 입증됐다.

앞서 열린 미국 뉴욕증시 지수선물거래에서도 이같은 분위기가 일부 반영돼다. 지수 선물시세가 비교적 큰 폭으로 올랐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등 암호 가상화폐도 소폭이지만 상승했다. 국채금리 급등으로 야기돤 뉴욕증시와 비트코인의 긴측발작이 일단 진정되는 모습이다. 국채금리도 소강국면이다. 지수 선물의 상승은 정규장 뉴욕증시와 상호 연관성이 높다. 기업들의 4분기 실적이 좋은 것으로 나타난 것이 뉴욕증시에 분위기를 호전시키고 있다. 이른바 어닝 실적 스프라이즈 효과이다. 실업보험 수당 신청자의 수가 줄어든 것도 랠리의 요인이 되고 있다. 미국의 긴축 강도가 거세질 거란 우려가 글로벌 금융시장을 극한의 공포로 몰아넣었으나 그 공포가 이 시각 현재 진정되는 양상이다. 앞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만 네 차례 금리인상을 단행하는 등 공격적 긴축에 나설 것이란 전망에 미국의 국채금리는 한때 2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그 국채금리 급등세가 지금은 안정된 모습이다.

아시아 증시는 혼조 마감했다. 중국 당국이 두 달 연속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중국의 경기 급랭 우려가 일었다. 일본에서는 수출이 호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나며 투자 심리를 개선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3.12포인트(0.09%) 하락한 3,555.06에 거래를 마쳤다. 선전종합지수는 22.44포인트(0.92%) 내린 2,419.69에 마감했다. 전 세계가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또 내렸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월 1년 만기 LPR이 전달의 3.8%보다 0.1%포인트 낮은 3.7%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앞서 한국시간 20일 아침 새벽 마감한 뉴욕증시에서는 나스닥 지수가 고점대비 10% 이상 하락하며 '기술적 조정(correction)' 국면에 진입했다.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9.82포인트(0.96%) 하락한 35,028.65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4.35포인트(0.97%) 떨어진 4,532.76에 마감했다. 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66.64포인트(1.15%) 급락한 14,340.26에 마감했다.

일본 도쿄증권거래소에서 닛케이225 지수는 305.70포인트(1.11%) 오른 27,772.93에 마감했다. 도쿄증시 1부 토픽스 지수는 18.81포인트(0.98%) 상승한 1,938.53에 장을 마감했다. 하루전 크게 하락한 소니그룹과 도요타자동차는 이날 각각 3%대와 1%대의 상승률을 보였다. 아시아 시장에서는 미국 주가지수 선물이 상승세를 보이자 도쿄 시장의 투자 심리도 회복세를 보이며 다시 올랐다. 달러-엔 환율은 전장 뉴욕 대비 0.18% 오른 114.482엔에 거래됐다.

미국 은행 모건스탠리와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시장의 예상치를 웃돈 실적을 발표했다. 모건스탠리의 지난해 4분기 순이익은 37억 달러, 주당 순이익(EPS)은 2.01달러로 집계됐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작년 4분기 순이익과 주당 순이익은 각각 70억 1천만 달러, 82센트로 집계됐다. 프락터 앤드 갬블(P&G)의 회계 2분기 순이익은 42억2천만 달러, 주당 1.66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순이익이었던 38억5천만 달러, 주당 1.47달러보다 개선된 실적이다. 미국 국채 금리 급등세는 주춤하고 있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은 올해 3월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97.1%로 내다봤다. 월가의 공포 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06포인트(4.65%) 상승한 23.85이다. .

중국 인민은행이 기준금리로 여겨지는 대출우대금리(LPR)를 두 달 연속 내렸다는 소식에 코스피도 상승했다. 중국의 경기 부양 의지가 확인되면서 투자 심리가 개선됐다. LG화학[051910](6.58%), 삼성SDI[006400](4.08%), SK이노베이션[096770](1.53%) 등 배터리 3사가 크게 올랐다. 카카오[035720](2.10%), 카카오뱅크[323410](2.27%), 카카오페이[377300](6.25%) 등 카카오 그룹주도 반등했다. SK하이닉스[000660](-1.57%), 셀트리온[068270](-1.20%), 신한지주[055550](-1.77%) 등도 반락했다. 펄어비스[263750](4.84%), 엘앤에프[066970](3.86%), 카카오게임즈[293490](5.00%), 위메이드[112040](7.03%), HLB[028300](4.11%) 등이 올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기조로 가상화폐 시장에 먹구름이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연준이 이르면 3월에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 때문에 연초부터 주식과 마찬가지로 가상화폐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보도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최대 가상화폐인 비트코인 가격은 올들어 무려 8.7% 떨어졌다. 2위 가상화폐 이더리움은 14% 급락했다.비트코인은 2021년 10월 6만8천990달러(약 8천200만원)로 역대 최고가를 기록한 이후 현재까지 39% 곤두박질쳤다.
세계 최대 비트코인 펀드인 자산 규모 270억달러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트러스트(GTBC)도 연초 대비 17% 떨어졌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iger8280@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아우디에서 가장 빠른 전기차 RS e-트론 GT
아우디 e-tron GT vs. 아이오닉 5 N 비교할 수 있을까?
이번엔 더 무서운 차 끌고 나왔다! 벤츠 E 300 4MATIC AMG Line
국내 1, 2위 다투는 수입차, 벤츠 E와 BMW 5 전격 비교
숨은 진주 같은 차, 링컨 노틸러스 ... "여긴 자동차 극장인가?"
가장 현실적인 드림카, 벤츠 디 올-뉴 CLE 450 4MATIC
파격 변신한 8세대 BMW 5시리즈...520i M sport package, "엔트리 같지 않다"
모든 걸 다 가진 차 왜건..."볼보 V90 CC, 너 하나로 만족한다"
맨위로 스크롤